💡
패턴(Pattern)
은 특정 컨텍스트 내에서 주어진 문제의 해결책이다.
- 패턴이 적용되는 상황
-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어야만 한다.
- e.g., 객체들의 컬렉션이 주어져 있다.
- 컨텍스트 내에서 이뤄야 하는 목표
- 컨텍스트 내의 제약조건도 포함된다.
- e.g., 컬렉션의 구현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그 안에 있는 각 객체를 대상으로 순환 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제약조건 속에서 누가 적용해도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일반적인 디자인
- e.g., 반복 작업을 별도의 클래스로 캡슐화한다.
어떤 컨텍스트 내에서
일련의 제약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문제가 발생했다면,
그 제약조건 내에서 목적 달성을 위한 해결책이 되는 디자인을 적용하면 된다.
디자인 패턴의 정의에 따르면, 문제
는 목적과 일련의 제약조건으로 구성된다.
어떤 이들은 이를 합쳐서 포스(force)
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패턴의 정의에서 포스란 해결책을 형성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The notion of force
generalizes the kinds of criteria that software engineers use to justify designs and
implementations.
For example, in the classic study of algorithms in computer science, the main force to be resolved is efficiency (time complexity).
However, patterns deal with the larger, harder-to-measure, and conflicting sets of goals and constraints encountered in the development of every artifact you ever create.
For example, correctness, resources, structure, construction, usage.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해결책이 포스의 양면 사이에서 적절하게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비로소 제대로 된 패턴이 만들어진다.
- 포스의 밝은 측면 - 목표
- 포스의 어두운 측면 - 제약조건
패턴 카탈로그에서는 패턴들이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용도, Intent
동기, Motivation
적용 대상(활용성), Applicability
구조, Structure
구성 요소, Participant
협력 방법, Collaborations
: 각 구성 요소가 패턴 내에서 어떤 식으로 서로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설명결과, Consequences
구현, Implementation
샘플 코드, Sample Code
잘 알려진 사용 예, Known uses
관련 패턴, Related Patterns
: 이 패턴과 밀접하게 관련된 다른 패턴들과 이들의 중요한 차이점 등
패턴 카탈로그에 대해 찾아보다가 패턴들이 잘 정리되어 있는 좋은 사이트를 찾아서 아래에 공유한다.
(한국어 번역이 존재하나, 부자연스러운 부분들이 중간중간 있으니 원문과 같이 읽는 것을 추천함)
The Catalog of Design Patterns
-
우선 모든 패턴을 익힌 후 여러 패턴 사이의 관계를 파악한다.
-
적용 대상
섹션과결과
섹션을 통해 적절한 패턴인지 판단을 내린다. -
패턴을 디자인에 반영하고 구현할 경우
구조
섹션을 보고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살펴본다.구성 요소
섹션에서 각 클래스의 역할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한다.구현/샘플 코드
섹션에서 구현 기법과 주의사항 등을 공부한다.
문제에 적합한 디자인 패턴을 찾아내는 여러가지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패턴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파악한다.
- 패턴이 의도하는 부분을 본다.
- 패턴들간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 비슷한 목적의 패턴들을 모아서 공부한다.
- 재설계의 원인을 파악한다.
- 설계에서 가변성을 가져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Abstract Factory 패턴
은 종종 Factory Method 패턴
이나 Prototype 패턴
을 이용해서 구현되며,
Singleton 패턴
을 이용해서 하나의 공유되는 객체를 관리할 수 있다.
Builder 패턴은 복잡한 객체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Abstract Factory 패턴과 유사하다.
그러나 Abstract Factory 패턴
이 제품군(Product Family) 별로 객체를 생성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Builder 패턴
은 단계적으로 객체를 생성한다는 점이 커다란 차이점이다.
또한 Builder 패턴
의 경우에는 몇 단계의 작업을 거친 후에야 최종적으로 결과를 되돌리는데 반해,
Abstract Factory 패턴
의 경우에는 곧바로 생성된 결과를 되돌린다.
Builder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객체는 Composite 패턴
의 형태일 때가 많다.
Factory Method 패턴
은 Abstract Factory 패턴
을 구현할 때 많이 사용된다.
또한 Factory Method 패턴은 Template Method 패턴
내에서 불리어지는 경우가 많다.
Prototype 패턴
은 Abstract Factory 패턴
과 같이 사용되거나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Prototype 패턴
은 Composite 패턴
이나 Decorator 패턴
이 많이 사용되는 곳에서 같이 사용하면 유용할 경우가 많다.
Prototype 패턴과 Factory Method 패턴을 비교해보면 Prototype 패턴
은 객체 생성시 반드시 하위 클래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대신,
생성된 객체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필요로 할 경우가 많다.
반면 Factory Method 패턴
은 객체 생성시 하위 클래스를 정의해서 생성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Adapter 패턴은 Bridge 패턴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두 패턴의 사용 목적은 완전히 다르다.
즉, Bridge 패턴
의 경우에는 인터페이스와 구현을 분리시켜줌으로써 서로 독립적으로 변경이 가능하게 만들려는 목적인데 반해
Adapter 패턴
은 이미 존재하는 객체의 인터페이스를 다른 형태로 변경시켜주는 것이 목적이다.
Decorator 패턴
은 인터페이스의 변경 없이 객체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방식이며, 이런 측면에서 Adapter 패턴
보다 좀 더 유연하다.
Facade 패턴은 기존 클래스의 기능을 추상화시킨다는 점에서 Mediator 패턴과 유사하다.
그러나 Mediator 패턴
에서는 다른 객체들이 Mediator 객체의 존재를 알아야 하지만, Facade 패턴
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즉, Facade 패턴에서는 서브 시스템 내의 객체들이 Facade 객체의 존재를 알 필요가 없다.
더불어 Mediator 패턴
에서는 각 객체들이 서로 직접적인 통신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Facade 패턴에서는 그런 제약이 없다.
한편 Facade 객체
는 하나만 존재하면 될 경우가 많으므로, 주로 Singleton 패턴
형태로 구현될 경우가 많다.
Flyweight 패턴
은 Strategy, State, Interpreter 패턴
에서 알고리즘이나 상태 정보 Terminal Symbol들을 각각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corator 패턴
은 이미 존재하는 객체에게 새로운 기능을 덧입히는 역할을 하는데 반해
Strategy 패턴
은 객체 내부의 구체적인 동작이나 알고리즘을 외부 객체에게 위임시키는 형태다.
따라서 Decorate 패턴은 객체의 겉을 변경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Strategy 패턴은 객체의 속을 변경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Proxy 패턴
은 Client가 호출하는 인터페이스의 변경 없이 다른 객체의 기능 수행을 대행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Proxy 패턴은 Adapter 패턴
과는 달리 인터페이스의 변경이 주목적이 아니다.
Memento 패턴
은 Iterator 패턴
의 반복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Command 패턴
에서 명령이 수행되기 이전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Observer 패턴
은 객체들간의 의존 관계를 분산시켜 관리하는데 반해 Mediator 패턴
은 이들을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따라서 객체들간의 복잡한 의존 관계를 한 곳에서 관리하고 싶을 때 Mediator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Template Method 패턴
에서는 내부의 알고리즘 단계를 정의할 때 Strategy 패턴
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개 Factory Method 패턴
을 사용해서 필요한 객체를 생성한다.
대부분의 카탈로그에서는 몇 가지 범주에 맞춰서 디자인 패턴을 분류하고 있는데,
그중 제일 유명한 분류 방법은 생성
, 행동
, 구조
라는 3가지 범주로 용도에 따라 나누는 것이다.
- 아래의 패턴 목록들 중 Chapter 1 ~ 12에서 설명되지 않은 패턴들은 Chapter 13에서 설명된다.
- 클래스 다이어그램들과 영문 설명은 GoF Design Patterns Card에서 가져왔다.
💡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패턴
- 클라이언트와 그 클라이언트가 생성해야 하는 객체 인스턴스 사이의 연결을 끊어준다.
- 기존 코드의 유연성과 재사용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객체 생성 매커니즘들을 제공한다.
서브클래스에서 생성할 구상 클래스를 결정한다.
즉, 부모 클래스에서 객체들을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자식 클래스들이 생성될 객체들의 유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Define an interface for creating an object, but let subclasses decide which class to instantiate.
Lets a class defer instantiation to subclasses.
클라이언트에서 구상 클래스를 지정하지 않으면서도 객체군(관련 객체들의 모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Provides an interface for creating families of related or dependent objects without specifying their concrete class.
복잡한 객체들을 단계별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패턴을 통해 같은 제작 코드로 객체의 다양한 유형들과 표현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Separate the construction of a complex object from its representing so that the same construction process can create different representations.
코드를 그들의 클래스들에 의존시키지 않고 기존 객체들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한다.
Specify the kinds of objects to create using a prototypical instance, and create new objects by copying this prototype.
클래스에 인스턴스가 하나만 있도록 하면서 이 인스턴스에 대한 전역 접근(액세스) 지점을 제공한다.
Ensure a class only has one instance and provide a global point of access to it.
💡 클래스와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역할을 분담하는 방법을 다루는 패턴
- 알고리즘들 및 객체 간의 책임 할당과 관련이 있다.
핸들러들의 체인(사슬)을 따라 요청을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각 핸들러는 요청을 받으면 요청을 처리할지 아니면 체인의 다음 핸들러로 전달할지를 결정한다.
Avoid coupling the sender of a request to its receiver by giving more than one object a chance to handle the request.
Chain the receiving objects and pass the request along the chain until an object handles it.
요청을 요청에 대한 모든 정보가 포함된 독립실행형 객체로 변환한다.
이 변환은 다양한 요청들이 있는 메서드들을 인수화 할 수 있도록 하며,
요청의 실행을 지연 또는 대기열에 넣을 수 있도록 하고, 또 실행 취소할 수 있는 작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Encapsulate a request as an object,
thereby letting you parameterize clients with different requests, queue or log requests, and support undoable
operations.
어떤 언어의 대해, 그 언어의 문법에 대한 표현을 정의하면서 그 표현을 사용하여 해당 언어로 기술된 문장을 해석하는 해석자를 함께 정의한다.
Given a language, define a representation for its grammar along with an interpreter that uses the representation to interpret sentences in the language.
컬렉션이 어떤 식으로 구현되었는지(리스트, 스택, 트리 등)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컬렉션 내에 있는 모든 객체를 하나씩 순회하여 반복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Provide a way to access the elements of an aggregate object sequentially without exposing its underlying representation.
객체 간의 직접 통신을 제한하고 중재자 객체를 통해서만 협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패턴을 통해 객체 간의 혼란스러운 의존 관계들을 줄일 수 있다.
Define an object that encapsulates how a set of objects interact.
Promotes loose coupling by keeping objects from referring to each other explicitly and it lets you vary their interactions independently.
객체의 구현 세부 사항을 공개하지 않으면서 해당 객체의 이전 상태를 저장하고 복원할 수 있게 해준다.
Without violating encapsulation, capture and externalize an object's internal state so that the object can be restored to this state later.
여러 객체에 자신이 관찰 중인 객체에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에 대하여 알리는 구독 메커니즘을 정의할 수 있도록 한다.
Define a one-to-many dependency between objects
so that when one object changes state, all its dependents are notified and updated automatically.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행동을 캡슐화한 다음 위임으로 필요한 행동을 선택한다.
즉, 객체의 내부 상태가 변경될 때 해당 객체가 그의 행동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에
객체가 행동을 변경할 때 객체가 클래스를 변경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Allow an object to alter its behavior when its internal state changes.
The object will appear to change its class.
교환 가능한 행동을 캡슐화하고 위임으로 어떤 행동을 사용할지 결정한다.
즉, 알고리즘들의 패밀리를 정의하고, 각 패밀리를 별도의 클래스에 넣은 후 그들의 객체들을 상호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Define a family of algorithms, encapsulate each one, and make them interchangeable.
Lets the algorithm vary independently from clients that use it.
서브클래스에서 생성할 구상 클래스를 결정한다.
부모 클래스에서 알고리즘의 골격을 정의하지만,
해당 알고리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자식 클래스들이 알고리즘의 특정 단계들을 오버라이드(재정의)할 수 있도록 한다.
Define the skeleton of an algorithm in an operation, deferring some steps to subclasses.
Lets subclasses redefine certain steps of an algorithm without changing the algorithm's structure.
알고리즘들을 그들이 작동하는 객체들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Represent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the elements of an object structure.
Lets you define a new operation without changing the classes of the elements on which it operates.
💡 클래스와 객체들의 구조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유지하면서 더 큰 구조로 만들 수 있게 구상을 사용하는 패턴
- 클래스와 객체가 새로운 구조와 기능을 만들려고 클래스와 객체를 구성하는 방법들이다.
객체를 감싸서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호환되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가진 객체들이 협업할 수 있도록 한다.
Convert the interface of a class into another interface clients expect.
Lets classes work together that couldn't otherwise because of incompatible interfaces.
큰 클래스 또는 밀접하게 관련된 클래스들의 집합을 두 개의 개별 계층구조(추상화 및 구현)로 나눈 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Decouple an abstraction from its implementation so that the two can vary independently.
객체들을 트리 구조들로 구성한 후, 클라이언트에서 객체 컬렉션과 개별 객체를 똑같이 다룰 수 있도록 한다.
Compose objects into tree structures to represent part-whole hierarchies.
Lets clients treat individual objects and compositions of objects uniformly.
객체를 특수 래퍼(wrapper) 객체들로 감싸서 새로운 행동을 제공한다.
Attach additional responsibilities to an object dynamically.
Provide a flexible alternative to sub-classing for extending functionality.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또는 다른 일련의 클래스들에 대한 단순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rovide a unified interface to a set of interfaces in a subsystem.
Defines a high- level interface that makes the subsystem easier to use.
각 객체에 모든 데이터를 유지하는 대신,
여러 객체들 간에 상태의 공통 부분들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RAM에 더 많은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Use sharing to support large numbers of fine grained objects efficiently.
객체를 감싸서 그 객체로의 접근을 제어한다.
다른 객체에 대한 대체 또는 자리표시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원래 객체에 전달되기 전 또는 후에 무언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Provide a surrogate or placeholder for another object to control access to it.
데코레이터 패턴
은 3가지 범주 중 구조 패턴
에 들어가 있는데,
이 패턴은 행동을 추가하는 패턴이기 때문에 행동 패턴에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구조 패턴
은 클래스와 객체가 새로운 구조와 기능을 만들려고 클래스와 객체를 구성하는 방법이다.데코레이터 패턴
은 한 객체를 다른 객체로 감싸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해 주는 패턴이다.
따라서 행동 패턴의 용도인 객체 사이의 통신과 상호연결보다는 객체들을 동적으로 구성해서 새로운 기능을 얻는 쪽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데코레이터(구조 패턴)
과 프록시 패턴(행동 패턴)
이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에 분류하기가 더욱 어려운데,
이 둘은 용도가 다르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길 바란다.
데코레이터 패턴
: 클래스에 새로운 행동을 추가하는 용도프록시 패턴
: 어떤 클래스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용도
이렇게 생성
, 구조
, 행동의
3가지 범주로 나눈 후,
분리 패턴(Decoupling Pattern)
과 같은 식으로 하위 범주로 다시 나누기도 한다.
(When we say two pieces of code are “decoupled”, we mean a change in one usually doesn’t require a change in the other.)
위와는 별개로, 클래스
를 다루는 패턴인지, 객체
를 다루는 패턴인지에 따라 패턴을 분류하는 방법도 있다.
💡 클래스 사이의 관계가 상속으로 어떻게 정의되는지를 다룬다.
클래스 사이의 관계는 대부분 컴파일할 때 결정된다.
- 팩토리 메서드(Factory Method) 패턴
- 인터프리터(Interpreter) 패턴
- 템플릿 메서드(Template Method) 패턴
- 어댑터(Adaptor) 패턴
💡 객체 사이의 관계를 다루며, 객체 사이의 관계는 보통 구성으로 정의된다.
- 일반적으로 실행 중에 관계가 결정되기 때문에 보다 동적이고 유연하다.
- 추상 팩토리(Abstract Factory) 패턴
- 빌더(Builder) 패턴
- 프로토타입(Prototype) 패턴
- 싱글턴(Singleton) 패턴
- 책임 연쇄(Chain of Responsibility) 패턴
- 커맨드(Command) 패턴
- 반복자(Iterator) 패턴
- 중재자(Mediator) 패턴
- 메멘토(Memento) 패턴
- 옵저버(Observer) 패턴
- 상태(State) 패턴
- 전략(Strategy) 패턴
- 비지터(Visitor) 패턴
- 브리지(Bridge) 패턴
- 복합체(Composite) 패턴
- 데코레이터(Decorator) 패턴
- 퍼사드(Facade) 패턴
- 플라이웨이트(Flyweight) 패턴
- 프록시(Proxy) 패턴
패턴으로 생각한다
는 것은 어떤 디자인을 봤을 때 패턴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안목을 가졌다는 것이다.
디자인 패턴
은 필요할 때만 써야 하는 도구에 불과하다.
어떤 디자인이든 될 수 있으면 단순하게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원칙들
을 바탕으로 제 할 일을 완수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코드를 만들다가,
패턴이 꼭 필요한 상황(확장성이 필요한 경우)이 닥쳤을 때에만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여 조금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 좋다.
실질적인 확장성만을 추구해야 한다.
또한, 객체지향 원칙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패턴이 필요한 상황이 왔을 때 패턴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해서 적용할 수도 있어야 한다.
다음은 패턴으로 생각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이다.
디자인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원칙은 최대한 단순한 방법(KISS, Keep it Simple)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이다.
“이 문제에 어떻게 패턴을 적용할 수 있을까?”가 아닌, “어떻게 하면 단순하게 해결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가장 단순하고 유연한 디자인을 만들 때 패턴이 있어야 한다면 그때 패턴을 적용하면 된다.
패턴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의 일반적인 해결책이며, 수많은 개발자가 오랫동안 검증한 해결책이다.
하지만 패턴을 사용할 때는 그 패턴이 우리가 설계한 디자인에 미칠 영향과 결과를 주의 깊게 생각해봐야 한다.
어떤 경우에 패턴을 써야할까?
디자인을 할 때, 지금 디자인상의 문제에 적합하다는 확신이 든다면 패턴을 도입해야 한다.
✅ 간단한 해결책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확신을 가지면 해결해야 할 문제와 제약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봐야 한다.
-
만약 어떤 패턴을 써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만한 패턴이 있는지를 훑어봐야 한다.
이때 패턴 카탈로그의 용도와 적용 대상 섹션을 살펴보면 좋다.
-
괜찮은 패턴을 찾았다면 패턴 카탈로그의 결과 섹션을 보고 디자인의 나머지 부분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 간단한 해결책으로 문제가 해결되는 데도 시스템의 어떤 부분이 변경될 거라고 예측되는 상황에는 디자인 패턴을 적용해야 한다.
-
디자인에서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발생 가능성이 높은 실질적인 변경) 패턴을 적용할 여지가 있다.
-
하지만 발생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은 가상적인 변경에 대비해서 패턴을 적용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
리팩터링의 목적은 행동 변경이 아니라 구조 개선
에 있다.
따라서 리팩터링은 패턴을 사용하면 구조가 더 개선될 수 있을지 검토해볼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이다.
시스템이 점점 복잡해지면서 처음에 기대했던 유연성이 전혀 발휘되지 못한다면 패턴을 과감하게 제거해 버리는 것이 낫다.
즉, 패턴보다 간단한 해결책이 더 나을 것 같다 싶을 때 패턴을 제거하면 된다.
지금 당장 변화에 대처하는 디자인을 만들어야 한다면 패턴을 적용해서 그 변화에 적응해야 하지만,
꼭 필요하지 않은데도 괜히 패턴을 추가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패턴을 쓰다 보면 시스템이 더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나중에 그 패턴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항상 가장 간단한 해결책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반드시 필요할 때만 디자인 패턴을 적용해야 한다.
💡 안티 패턴은 어떤 문제의 나쁜 해결책에 이르는 길을 알려준다.
-
일상적인 문제의 자주 반복되는 나쁜 해결책을 문서로 만들면 다른 개발자들이 똑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
요소
- 어떤 이유로 나쁜 해결책에 유혹되는가
-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 해결칙이 나쁜 이유
- 좋은 해결책을 만들 때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패턴에 대한 제안
-
종류
- 개발 안티 패턴
- 객체지향 안티 패턴
- 조직 안티 패턴
- 특정 영역 안티 패턴
해당 사이트에서 다양한 안티 패턴을 찾아볼 수 있다.
포틀랜드 패턴 레포지토리(The Portland Patterns Repository)
패턴과 객체지향 시스템에 관련된 모든 것을 담은 위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