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retain count 방식은 MRC 환경에서 reference count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retainCount 코드로 retain Count에 접근할 수 있다.
retain count는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retain메서드를 사용할 때 +1만큼 증가한다. 인스턴스를 생성할때는 자동적으로 rc가 증가하지만, 이외의 경우에는 retain을 꼭 명시해주어 수동으로 + 1 해줘야 한다. 반대로 release를 사용하면 retain count가 -1 만큼 줄어든다.
(MRC 방식에서 쓰이기에 스위프트 언어로 개발할때는 쓰이지 않음! -> Swift는 ARC로 자동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Activity
hyesuuou commentedon Oct 1, 2021
retain count 방식은 MRC 환경에서 reference count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retainCount
코드로 retain Count에 접근할 수 있다.retain count는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retain메서드를 사용할 때 +1만큼 증가한다. 인스턴스를 생성할때는 자동적으로 rc가 증가하지만, 이외의 경우에는 retain을 꼭 명시해주어 수동으로 + 1 해줘야 한다. 반대로 release를 사용하면 retain count가 -1 만큼 줄어든다.
(MRC 방식에서 쓰이기에 스위프트 언어로 개발할때는 쓰이지 않음! -> Swift는 ARC로 자동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Taehyeon-Kim commentedon Oct 10, 2021
ARC가 등장하기 전에는 모든 객체의 레퍼런스 카운트를 직접 관리해야 하는 MRC 방식을 사용했다.
여기서 사용되는 개념인
Retain Count
는 레퍼런스 카운트를 증가시킨다는 개념이고, 이와 반대되는 개념에는Release Count
는 레퍼런스 카운트를 감소시킨다는 개념이다.Objective-C에서 다음과 같이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