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469 lines (334 loc) · 24.3 KB

Chapter9-3.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469 lines (334 loc) · 24.3 KB

09. 제네릭스

  • 이전 장에서 이미 살펴본 제네릭 설명
  •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나 선언 지점 변성 등의 새로운 내용 설명
    •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인라인 함수 호출에서 타입 인자로 쓰인 구체적인 타입을 실행 시점에 알 수 있다.
    • 선언 지점 변성을 사용하면 기저 타입은 같지만 타입 인자가 다른 두 제네릭 타입 Type와 Type가 있을 때 타입 인자 A와 B의 상위/하위 타입 관계에 따라 두 제네릭 타입의 상위/하위 타입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지정할 수 있다.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

  • 제네릭스를 사용하면 타입 파라미터를 받는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 제네릭 타입의 인스턴스를 만들려면 타입 파라미터를 구체적인 타입 인자로 치환해야 한다.
  •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이 변수는 문자열을 담는 리스트다” 라고 말할 수 있다. → List<String>
  • 코틀린 컴파일러는 보통 타입과 마찬가지로 타입 파라미터도 추론할 수 있다.
    • val authors = listOf(”Dmitry”, “Svetlana”)List<String> 임을 추론
  • 하지만 빈 리스트를 만들 때는 타입 인자를 추론할 근거가 없기 때문에 직접 타입 인자를 명시해야 한다. 변수의 타입을 지정해도 되고 변수를 만드는 함수의 타입 인자를 지정해도 된다.
    • val readers: MutableList<String> = mutableListOf()
    • val readers: mutableListOf<String>()

note

💡 자바와 달리 코틀린에서는 제네릭 타입의 타입 인자를 프로그래머가 명시하거나 컴파일러가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 자바는 리스트 원소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List 타입의 변수를 선언할 수도 있다. (1.5에서 제네릭을 도입 했기 때문에 하위 호환성 고려)
  • 코틀린은 처음부터 제네릭을 도입했기 때문에 타입 인자를 항상 정의해야 한다.

제네릭 함수와 프로퍼티

  • 리스트를 다루는 함수를 작성한다면 모든 리스트를 다룰 수 있는 함수를 원할 것이다. 이때 제네릭 함수를 작성해야 한다.

  • 컬렉션을 다루는 라이브러리 함수는 대부분 제네릭 함수다.

    Example

    스크린샷 2021-12-24 오후 2.20.06.png

    • 이런 함수를 포함할 때 타입 인자를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으나 대부분 컴파일러가 타입 인자를 추론할 수 있다.

      리스트 9.1 제네릭 함수 호출하기

      >>> val letters = ('a'..'z').toList()
      >>> println(letters.slice<Char>(0..2)) //타입 인자를 명시적으로 지정한다.
      [a,b,c]
      
      >>> println(letters.slice(10..13)) // T가 Char라는 사실을 추론한다.
      [k, l, m, n]

    리스트 9.2 제네릭 고차 함수 호출하기

    val authors = listOf("Dmitry", "Svetlana")
    val readers = mutalbleListOf<String>(/* ... */)
    
    fun <T> List<T>.filter(predicate: (T) -> Boolean): List<T>
    >>> readers.filter {it !in authors}
    • filter를 호출하는 readers의 타입이 List이라는 것을 알고 이후로 T가 String이라는 사실을 추론한다.
    • 클래스나 인터페이스 안에 정의된 메소드, 확장 함수 또는 최상위 함수에서 타입 파라미터를 선언할 수 있다.

note

💡 확장 프로퍼티만 제네릭하게 만들 수 있다.

일반(확장이 아닌) 프로퍼티는 타입 파라미터를 가질 수 없다. 클래스 프로퍼티에 여러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는 없으므로 제네릭한 일반 프로퍼티는 없다. 일반 프로퍼티를 제네릭하게 정의하면 컴파일러는 오류를 표시한다.

val <T> x: T = TODO() ERROR: type parameter of a property must be used in its receiver type

제네릭 클래스 선언

  • 자바와 마찬가지로 코틀린에서도 타입 파라미터를 넣은 꺽쇠 기호(<>)를 클래스 이름 뒤에 붙이면 클래스를 제네릭하게 만들 수 있다.

  • 타입 파라미터를 이름 뒤에 붙이고 나면 클래스 본문 안에서 타입 파라미터를 다른 일반 타입처럼 사용할 수 있다.

  • 제네릭 클래스를 확장하는 클래스를 정의하려면 기반 타입의 제네릭 파라미터에 대해 타입 인자를 지정해야 한다. → 구체적인 타입 or 타입 파라미터로 받은 타입 가능

    class stringList: List<String> {
    	override fun get(index: Int): String = ...
    }
    
    // ArrayList의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 T를 List의 타입 인자로 사용한다.
    class ArrayList<T>: List<T> {   
    	override fun get(index: Int): T =...
    }
    • ArrayList 클래스는 자신만의 타입 파라미터 T를 정의하면서 그 T를 기반 클래스의 타입 인자로 사용한다.

      • ArrayList에서 T는 List의 T와 전혀 다른 타입 파라미터이며, 실제로는 T가 아니라 다른 이름을 사용해도 의미에는 차이가 없다.
    • StringList 클래스는 String 타입의 원소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String을 기반 타입의 타입 인자로 지정한다. 하위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에 정의된 함수를 오버라이드하거나 사용하려면 타입 인자 T를 구체적 타입 String으로 치환해야 한다.

      override fun get(index: Int): String {
      	TODO("Not yet implemented")
      }
  • 클래스가 자기 자신을 타입 인자로 참조할 수도 있다.

    interface Comparable<T> {
    	fun compareTo(other: T): Int
    }
    
    class String: Comparable<String> {
    	override fun compareTo(other: String): Int = /* ... */
    }
    • String 클래스는 제네릭 Compa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서 그 인터페이스의 타입 파라미터 T로 String 자신을 지정한다.

지금까지의 제네릭스는 자바 제네릭스와 비슷하나 이후에는 자바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타입 파라미터 제약

  • 타입 파라미터 제약은 클래스나 함수에 사용할 수 있는 타입 인자를 제한하는 기능이다.

  • List나 List에 sum함수를 적용할 수 있지만 List에는 적용할 수 없다.

  • 어떤 타입을 제네릭 타입의 타입 파라미터에 대한 상한으로 지정하면 그 제네릭 타입을 인스턴스화할 때 사용하는 타입 인자는 반드시 그 상한 타입이거나 그 상한 타입의 하위 타입이어야 한다.

  • 제약을 가하려면 타입 파라미터 이름 뒤에 콜론(:)을 표시하고 그 뒤에 상한 타입을 적으면 된다.

    fun **<T : Number>** List<T>.sum() : T

  • 타입 파라미터 T에 대한 상한을 정하고 나면 T타입의 값을 그 상한 타입의 값으로 취급 가능하다.

    fun <T: Number> oneHalf(value: T): Double {
        return value.toDouble() / 2.0
    }
  • 타입 파라미터에 둘 이상의 제약을 가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fun <T> ensureTrailingPeriod(seq: T)
            where T : CharSequence, T : Appendable {
        if (!seq.endsWith('.')) {
            seq.append('.')
        }
    }
    
    >>> val helloWorld = StringBuilder("Hello World")
    >>> ensureTrailingPeriod(helloWorld)
    >>> println(helloWorld)
    Hello World.
    

타입 파라미터를 널이 될 수 없는 타입으로 한정

  • 제네릭 클래스나 함수를 정의하고 그 타입을 인스턴스화할 때는 널이 될 수 있는 타입을 포함하는 어떤 타입으로 타입 인자를 지정해도 타입 파라미터를 치환할 수 있다.

  • <T: Any>라는 제약은 T 타입이 항상 널이 될 수 없는 타입이 되게 보장한다.

    class Processor<T> {
        fun process(value: T) {
            value.hashCode()
        }
    }
    
    // 해당 코드 사용 가능, 즉 null이 될 수 있음
    val nullableStringProcessor = Processor<String?>()
    nullableStringProcessor.process(null)
    
    class Processor<T: Any> {
        fun process(value: T) {
            value.hashCode()
        }
    }
    
    // 해당 코드 사용 불가
    val nullableStringProcessor = Processor<String?>()
    nullableStringProcessor.process(null)
    
    // 컴파일 오류
    Error: Type argument is not within its bounds: should be subtype of 'Any'
  • 타입 파라미터를 널이 될 수 없는 타입으로 제약하기만 하면 타입 파라미터는 널이 될 수 없다. 즉 Any가 아니더라도 다른 타입을 사용해도 된다.

실행 시 제네릭스의 동작: 소거된 타입 파라미터와 실체화된 타입 파라미터

  • JVM의 제네릭스는 보통 타입 소거(type erasure)를 사용해 구현된다. 이는 실행 시점에 제네릭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타입 인자 정보가 들어있지 않다는 뜻이다.
  • 이 절에서는 코틀린 타입 소거가 실용적인 면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 함수를 inline으로 선언함으로써 이런 제약을 어떻게 우회하는지 살펴본다. (inline으로 선언 시 타입 인자자 지워지지 않게 함 → 실체화)

실행 시점의 제네릭: 타입 검사와 캐스트

  • 자바와 마찬가지로 코틀린 제네릭 타입 인자 정보는 런타임에 지워진다. 즉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쓰인 타입 인자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다.
    • List 객체를 만들고 그 안에 문자열을 넣더라도 실행 시점에 오직 List로만 볼 수 있다.

    • List 객체가 어떤 타입의 원소를 저장하는지 실행 시점에는 알 수 없다.

      스크린샷 2021-12-24 오후 4.50.01.png

타입 소거의 한계

  • 실행 시점에 타입 인자를 검사할 수 없다, 단 List인지 까지는 알아낼 수 있다. (문자열 인지, 다른 객체 인지는 x)

    if (value is List<String>) {...}
    
    ERROR: Cannot check for instance of erased type
  • 저장해야 하는 타입 정보의 크기가 줄어들어서 전반적인 메모리 사용량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 리스트인지 맵인지 등의 정보는 스타 프로젝션(start projection)을 사용하면 된다. 타입 파라미터가 2개 이상이면 모든 타입 파라미터에 * 포함

    if (value is List<*>) {...}

  • as나 as? 캐스팅에도 제네릭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타입으로 캐스팅해도 캐스팅에 성공한다. 하지만 List 으로 만들경우 String을 Number 사용하려고 하면 ClassCastException이 발생한다.

fun printSum(c: Collection<*>) {
    val intList = c as? List<Int>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List is expected")
    println(intList.sum())
}
  • 코틀린 컴파일러는 컴파일 시점에 타입 정보가 주어진 경우에는 is 검사를 수행하게 허용한다.

    fun printSum(c: Collection<Int>) {
        if (c is List<Int>) {
            println(c.sum())
        }
     }
    • c 컬렉션이 Int 값을 저장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므로 c가 List인지 검사할 수 있다.

코틀린은 제네릭 함수의 본문에서 그 함수의 타입 인자를 가리킬 수 있는 특별한 기능은 없지만 inline 함수 안에서는 타입 인자를 사용할 수 있다.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한 함수 선언

  • 코틀린 제네릭 타입의 타입 인자 정보는 실행 시점에 지워지므로 제네릭 함수가 호출되도 그 함수의 본문에서는 호출 시 쓰인 타입 인자를 알 수 없다.

    fun <T> isA(value: Any) value is T

  • 하지만 inline 키워드를 붙이면 컴파일러는 그 함수를 호출한 식을 모두 함수 본문으로 바꾼다. 이로써 실행 시점에 타입이 T의 인스턴스인지를 검사할 수 있다.

    // reified 키드는 이 타입 파라미터가 실행 시점에 지워지지 않음을 표시한다.
    inline fun <reified T> isA(value: Any) = value is T

리스트 9.9 filterIsInstance를 간단하게 정리한 버전

inline fun <reified T> Iterable<*>.filterIsInstance(): List<T> {
    val destination = mutableListOf<T>()
    for (element in this) {
        if (element is T) {
            destination.add(element)
        }
    }
    return destination
}
💡 **인라인 함수에서만 실체화한 타입 인자를 쓸 수 있는 이유**

컴파일러는 인라인 함수의 본문을 구현한 바이트코드를 그 함수가 호출되는 모든 지점에 삽입한다. 컴파일러는 실체화한 타입 인자를 사용해 인라인 함수를 호출하는 각 부분의 정확한 타입 인자를 알 수 있다.

즉, 아래와 같은 코드를 만들어낸다. 인라인 함수는 자바에서 일반 함수처럼 호출할 수는 없다.

for (element in this) {
	if (element is String) {
		destination.add(element)
	}
}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로 클래스 참조 대신

  • java.lang.Class 타입 인자를 파라미터로 받는 API에 대한 코틀린 어댑터를 구축하는 경우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를 자주 사용한다.

  • ServiceLoader는 어떤 추상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 java.lang.Class를 받아서 그 클래스나 인스턴스를 구현한 인스턴스를 반환한다.

    val serviceImpl = ServiceLoader.load(Service::class.java)

  • loadService 함수 정의

    inline fun <reified T> loadService() {
    	return ServiceLoader.load(T::class.java)
    }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의 제약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 타입 검사와 캐스팅(is, !is, as, as?)
  • 10장에서 설명할 코틀린 리플렉션 API(::class)
  • 코틀린 타입에 대응는 java.lang.Class를 얻디(::class.java)
  • 다른 함수를 호출할 때 타입 인자로 사용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일은 할 수 없다.

  • 타입 파라미터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하기
  • 타입 파라미터 클래스의 동반 객체 메소드 호출하기
  •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함수를 호출하면서 실체화하지 않은 타입 파라미터로 받은 타입을 타입 인자로 넘기기
  • 클래스, 프로퍼티, 인라인 함수가 아닌 함수의 타입 파라미터를 reified로 지정하기

변성: 제네릭과 하위 타입

  • 변성 개념은 List와 List와 같이 기저 타입이 같고 타입 인자가 다른 여러 타입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하는 개념이다.
  • 일반적으로 이런 관계가 왜 중요한지 먼저 설명한 다음에 코틀린에서 변성을 어떻게 표시하는지 살펴본다.
  • 직접 제네릭 클래스나 함수를 정의하는 경우 변성을 꼭 이해해야 한다.
  • 변성을 잘 활용하면 사용에 불편하지 않으면서 타입 안전성을 보장하는 API를 만들 수 있다.

변성이 있는 이유: 인자를 함수에 넘기기

  • List 타입의 파라미터를 받는 함수에 List을 넘기면 안전할까?

    • 원소 추가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List을 List 대신 넘겨도 안전하다.
    • 하지만 어떤 함수가 리스트의 원소를 추가하거나 변경한다면 타입 불일치가 생길 수 있다.
    • 코틀린에서는 리스트의 변경 가능성에 따라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안전하지 못한 함수 호출을 막을 수 있다. 함수가 읽기 전용 리스트를 받는다면 더 구체적인 타입의 원소를 갖는 리스트를 그 함수에 넘길 수 있다. 하지만 리스트가 변경 가능하다면 그럴 수 없다.
    fun main() {
        printContents(listOf("abc", "bac"))
        val strings = mutableListOf("abc", "bac")
        addAnswer(strings)
    }
    
    // 변경 가능 리스트를 받기 위해서는 특정 타입으로 지정해야 한다.
    // list: MutableList<Int>
    fun addAnswer(list: MutableList<Any>) {
        list.add(42)
    }
    • 이후에 List와 MutableList의 변성이 왜 다른지 살펴본다. 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타입하위 타입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한다.

클래스, 타입, 하위 타입

  • 변수의 타입은 그 변수에 담을 수 있는 값의 집합을 지정한다.

  • 클래스와 타입은 같지 않다.

    • 하나의 클래스는 적어도 둘 이상의 타입을 구성할 수 있다. → var x: String, var x: String?
    • 제네릭은 더 복잡하다. List는 타입이 아니라 클래스다. 하지만 타입 인자를 치환한 List, List<String?> List<List> 등은 모두 타입이다.
  • 타입 사이의 관계를 논하기 위해 하윕 타입을 알아야 한다. 어떤 타입 A의 값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 어떤 타입 B의 값을 넣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면 타입 B는 타입 A의 하위 타입이다.

    스크린샷 2021-12-27 오후 8.10.29.png

  • 하위 타입인지는 컴파일러가 변수 대입이나 함수 인자 전달 시 하위 타입 검사를 매번 수행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 하위 타입하위 클래스는 근본적으로 같다. Int 클래스는 Number의 하위 클래스이므로 Int는 Number의 하위 타입이다. 동일하게 어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의 타입은 그 인터페이스 타입의 하위 타입이다.

  • 널이 될 수 없는 타입은 널이 될 수 있는 타입의 하위 타입이다. 하지만 두 타입 모두 같은 클래스에 해당한다.

    스크린샷 2021-12-27 오후 8.18.20.png

  • 제네릭 타입을 다룰 때 하위 클래스와 하위 타입의 차이는 더욱 중요해진다. 제네릭 타입을 인스턴스화할 때 타입 인자가 서로 다른 타입이 들어가면 인스턴스 타입 사이의 하위 타입 관계가 성립하지 않으면 그 제네릭 타입을 **무공변(invariant)**이라고 말한다.

    • 즉 MutableList는 항상 MutableList의 하위 타입이 아니다.
    • Example → MutableList MutableList은 서로 하위 타입이 아니다.
  • 하지만 코틀린의 List 인터페이스는 읽기 전용 컬렉션을 표현한다. 즉 A가 B의 하위 타입이면 List는 List의 하위 타입이다. 그런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공변적(covariant)**이라고 말한다.

  • 자바에서는 읽기 전용 타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클래스가 무공변이다.

공변성: 하위 타입 관계를 유지

  • 코틀린에서 제네릭 클래스가 타입 파라미터에 대해 공변적임을 표시하려면 타입 파라미터 이름 앞에 out을 넣어야 한다.

    interface Producer<out T> { // 클래스가 T에 대해 공변적이라고 선언한다.
    	fun produce(): T
    }
  • 클래스의 타입 파라미터를 공변적으로 만들면 함수 정의에 사용한 파라미터 타입과 타입 인자의 타입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함수 인자나 반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 9.11 무공변 컬렉션 역할을 하는 클래스 정의하기

    open class Animal {
        fun feed() {}
    }
    
    class Herd<T: Animal> {
        val size: Int get() =  ...
        operator fun get(i: Int): T {
    				...
        }
    }
    
    fun feedAll(animals: Herd<Animal>) {
        for(i in 0 until animals.size) {
            animals[i].feed()
        }
    }

    리스트 9.12 무공변 컬렉션 역할을 하는 클래스 사용하기

    class Cat: Animal() {
        fun cleanLitter() {}
    }
    
    fun takeCareOfCats(cats: Herd<Cat>) {
        for (i in 0 until cats.size) {
            cats[i].cleanLitter()
            // feedAll(cats) 
    				// Error: inferred type is Herd<Cat>, but Herd<Animal> 
    				// was expected 라는 오류가 발생한다.
        }
    }
    • Herd 클래스의 T 타입 파라미터에 대해 아무 변성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양이 무리는 동물 무리의 하위 클래스가 아니다.

      • 명시적으로 타입 캐스팅을 할 수 있긴 하지만 코드가 장황해지고 실수 하기 쉽다. 또한 강제 캐스팅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Herd를 공변적인 클래스로 만들 수 있다.

      리스트 9.13 공변적 컬렉션 역할을 하는 클래스 사용하기

      class Herd<out T: Animal> {}
      fun takeCareOfCats(cats: Herd<Cat>) {
          for (i in 0 until cats.size) {
              cats[i].cleanLitter()
              feedAll(cats) 
      }
  • 타입 파라미터를 공변적으로 지정하면 클래스 내부에서 그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한한다.

  • 즉, 타입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공변적 파라미터는 항상 아웃 위치에만 있어야 한다. 이는 클래스가 T 타입의 값을 생산할 수는 있지만 T 타입의 값을 소비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 함수 파라미터 타입은 인 위치, 반환 타입은 아웃 위치에 해당한다.

    스크린샷 2021-12-27 오후 9.05.59.png

  • 코틀린의 List는 읽기 전용이다. 따라서 그 안에는 T 타입의 원소를 반환하는 get 메소드는 있지만 리스트에 T 타입의 값을 추가하거나 리스트에 있는 기존 값을 변경하는 메소드는 없다. 따라서 List는 T에 대해 공변적이다.

    interface List<out E> : Collection<E> {
    	operator fun get(index: Int): T // T는 항상 아웃 위치에 쓰인다.
    
    	// public abstract fun indexOf(element: E): kotlin.Int 이것은 무엇??
    }
  • 이런 위치 규칙은 오직 외부에서 볼 수 있는 (public, protected, internal) 클래스 API에만 적용할 수 있다. 비공개(private) 메소드의 파라미터는 인도 아니고 아웃도 아닌 위치다.

반공변성: 뒤집힌 하위 타입 관계

  • 반공변성은 공변성의 반대라 할 수 있다. 반공변 클래스의 하위 타입 관계는 공변 클래스의 경우와 반대다.

    interface Comparator<in T> {
    	fun compare(e1: T, e2: T): Int {...}
    }
    • 이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는 T 타입의 값을 소비하기만 한다. 이는 T가 인 위치에서만 쓰인다는 뜻이다. 따라서 T 앞에는 in 키워드를 붙여야만 한다.

사용 지점 변성: 타입이 언급되는 지점에서 변성 지정

스타 프로젝션: 타입 인자 대신 *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