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
-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으로 비대면 서비스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디지털 소외 계층이 발생하였습니다. 디지털 소외 계층 문제를 해결하고자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자 하였습니다.
-
사용자의 맞춤 서비스 제공
- NER(개체명 인식) 기법을 활용하여 최소한의 정보로도 간편하게 예약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 터치 기반 방식에 어려움을 느끼는 디지털 소외 계층을 위해 음성인식 기반 방식으로 전환
- GPS를 사용하여 출발지 자동 인식 서비스 도입
- 음성인식을 통해 전국 시외버스 터미널의 버스를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 사용자의 음성을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여 핵심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편의를 제공합니다.
- 코로나19와 같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예매를 비대면으로 진행하더라도 디지털 취약 계층이 소외되지 않고, 급격히 변화하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대화형 서비스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용하면서 편리하고 친숙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 기존의 터치식 UI/UX에서 사용자 음성 한 마디로, 모든 정보를 빠르게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 2022 한이음 공모전 한국정보산업연합회 회장상 수상작입니다.
- 팀 노션 블로그: https://www.notion.so/d92b27a1f4c74d3092f48fc689a3ad9f?v=909eca2f00034caf95d76c0e222aeddf
Frontend | Backend | DB | MODEL | TEST TOOL |
---|---|---|---|---|
- 배차 스케줄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는 매일 00시00분에 Batch 프로그램을 통해 Tmoney API에서 정보를 가져와서 가공하고 저장합니다
- 당일 기준으로부터 약 30일까지의 데이터만 Tmoney 사에서 제공해주어서 약 한 달치의 정보만 예약만 접근 가능합니다.
- 더 많은 사용자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도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아래 경우들이 그 예시입니다.
- 데모 및 설명은 다음 데모 영상을 참고해 주세요.
모든 정보가 포함된 문장 | 중간에 리셋하는 경우 | 중간에 수정하는 경우 | 도착지만 말한 경우 | 승차권 확인 |
---|---|---|---|---|
![]() |
![]() |
![]() |
![]() |
![]() |
크게 보기 | 크게 보기 | 크게 보기 | 크게 보기 | 크게 보기 |
![]() |
![]() |
![]() |
![]() |
---|---|---|---|
최다솜 | 황수현 | 강창룡 | 조준기 |
Chatbot AI Lead |
Chatbot AI PM |
App Backend App Frontend |
App Backend App Frontend |
[1] KoBERT-Transformers
[2] BERT_sandwich_order
[3]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기술블로그 Tech&(테크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