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3
화면 구성 범위, 이벤트 수집 방법 (2020.11.17. 화요일)
sunkyu_yoo edited this page Nov 17, 2020
·
7 revisions
- 메인, 차트, 플레이어는 디폴트
- 프로젝트 주제가 Vibe 클로닝이 아닌 이벤트 수집기에 있다는 것을 생각
- 메거진, 스테이션, 뉴스 같은 경우는 이벤트 수집에 집중
- 차트는 SSR이 필요하다?
- 결론
- 공통 : 데이터 오는동안 이미지같은거에 Loading 표시
- 투데이 페이지 : Full 클론, 데이터는 더미데이터, 추천알고리즘같은건 없음
- 차트 페이지 : 인기차트만 Full 클론, 로딩방식은 보류
- DJ 스테이션(약간 라디오채널 느낌) : 일단 모양하고 이벤트수집만
- 스테이션 재생시 플레이어 하단에 라디오 채널처럼 추가되는데 일단 생각하지 않기로.
- VIBE MAG 페이지 : 일단 모양하고 이벤트수집만
- 이달의 노래: 제외, 탭에 버튼 모양만
- 플레이어 : Full 클론
- 이벤트를 보낼때 유저의 정보나, 플랫폼, user agent 등을 포함
- 이벤트 분류
- Interactive한 뷰(?)를 위한 이벤트는 실제 뷰에 적용까지 해보고 싶음 - ex) 인기차트
- UX 개선을 위한 이벤트도 수집
- 결국 다 같은 이벤트 아님? 이벤트를 어떻게 나눠서 구현하지?
- 예를 들어 A 페이지에 갔다가 바로 뒤로 나오면 렌더링이 느리다, 조금 있다가 나오면 흥미가 없다, 오래보면 흥미있게 봤다 이런식으로 나눠서 이벤트를 기록하는지,
- 아니면 애초에 A페이지에 간 것, 뒤로간 것 을 각각 Raw Data로 기록하고 분류는 데이터는 가공시에 하도록 하는게 맞는지
-
프로젝트 주제가 어느쪽으로 가야하는지?
- 이벤트를 수집한 데이터를 모아서 우리가 만든 뷰에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한건지
- 데이터를 의미있게 볼 수 있도록 모아서 분석이 되는 것이 중요한 것인지
-
만약 실제 서비스라면 Raw Data를 기록하여 분석하겠지만, 우리 프로젝트는 데이터 분석과 가공이 어려우니 우리 입맛에 맛게 이벤트를 가공하여 수집해서 우리 프로젝트에 데이터가 어느정도 직접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
-
'프로젝트 주제 설명' 의 검증의 의미
- 이벤트 로그 수집을 통한 UX 개선 등의 결과를 검증하는 것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