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4
2023 07 06 회의
문제웅 edited this page Jul 6, 2023
·
1 revision
회의록을 기록하기 애매하지만 수행한 Task
- 1차 데모데이 발표 준비
- 하루스터디 로고 디자인 선정
https://github.com/woowacourse-teams/2023-haru-study/discussions/11
- 히이로 : 고도화 우선순위 후보군 중
스터디 매체에 따른 공고 템플릿
기능이 MVP 기능 구현 이후 최우선 목표가 되어야 한다. - 노아 : 빨리 만들고 자주 만들고 하는 것이 우리 서비스 특징인데, 스터디 생성 후 진행과정에서 사용자가 귀찮아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 스터디를 만들 때마다 오픈카톡방을 개설해야 한다면 텀이 짧은 스터디를 많이 만들기는 부담될 수 있다.
- 룩소 : 서비스 컨셉 하루 안에 끝내는 것이 컨셉인데 사실상 하루 안에 만나서 스터디하고 뭔가를 얻어간다는 것이 힘들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하루스터디에서 진행되는 스터디는 미리 스터디원들이 특정 주제를 공부해오고 이를 공유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끔 서비스 차원에서 유도하는 기능이 추가되면 좋겠다.
- 스터디 방식에 대한 범용성 포기가 필요할 수 있을 것 같다 (?)
- 스터디 방식을 스터디 매체처럼 정해진 종류 안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어떨까
- 미리 공부해온 것을 공유하는 방식 (아고라)
- 면접 스터디 - 날짜마다 각기 다른 주제로 면접을 진행하는 방식
- 스터디 일시에 모여서 함께 공부하는 방식 (모각코…?)
- 한 사람이 준비한 내용을 스터디에서 발표하는 방식 (세미나)
- 미리 공부해온 것을 공유하는 방식 (아고라)
- 스터디 진행 방식을 온라인으로 제한하는 것은 어떨까?
- 면접 스터디, 모각코, 세미나가 진행 방식이라는 용어가 더 알맞지 않을까?
하루스터디에서 제공하는 스터디 매체, 종류를 한정하는 것이 서비스 목적을 실현하는데 도움을 줄 것인가?
⇒ 위 두 기능들은 팀 내 논의에서 도출된 결론이지 실 사용자들이 이러한 기능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될 가능성이 얼마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MVP를 구현하면서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것과 이후 프로토타입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을 통해 축적되는 데이터를 종합해서 이를 기반으로 고도화 기능을 결정하는 방향으로 결론지음.
- 티스토리
- 접근성이 제일 편하다.
- 초기 세팅하는 리소스가 적다.
-
github.io
- 깃허브 Organization을 만들어서 추후 이쁜 로고를 프로필에 박을 수 있다.
- 마크다운, 코드 입력 기능이 편하다.
⇒ 히이로가 총대매고 Organization 파서 [github.io](http://github.io) 만들기
결과
- 하루스터디 Organization 생성 : 하루스터디 Organization 페이지 바로가기
- 하루스터디 기술 블로그 초기 배포 완료 : 하루스터디 기술 블로그 바로가기
- 스터디 상태 관련
- 모집 중 → 스터디 인원을 모집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모집 완료 → 모집이 완료된 이후 스터디가 완료되기 전까지의 상태를 의미한다.
- 스터디 완료 → 스터디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 모집 기간 만료(Outdated) → 마감 기한이 지났으나 지원이 없는 모집 실패 상태를 의미한다.
- 스터디 상세 내용
- 학습 주제 - 핵심 키워드와 부가 키워드로 나뉜다.
- 스터디 날짜 - 스터디가 실제로 진행되는 날짜를 의미한다.
- 스터디 시간 - 스터디가 실제로 진행되는 시간을 의미한다.(시간은 30분 단위로 한다.)
- 스터디 일시 - 스터디 날짜와 스터디 시간을 의미한다.
- 예상 소요 시간 - 스터디에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시간 단위는 1시간으로 하며 최대 12시간으로 한다.)
- 모집 마감일 - 스터디의 모집이 마감되는 날짜를 의미한다.(자정을 기준으로 한다.)(모집 마감일은 스터디 일시 이전으로 한다.)
- 예시: 2023-07-06이 모집 마감일이라면 7월 6일 23시 59분 59초 59ms를 의미한다.
- 최대 모집 인원 - 스터디장이 원하는 스터디원의 최대 인원수를 의미한다.(스터디장 포함)(최대 모집 인원은 10으로 제한한다.)
- 진행 방식 - 온라인, 오프라인을 의미힌다.
- 학습 매체 - 도서, 영상, 기타 / 학습할 대상 매체를 의미한다.
- 부가 설명 - 스터디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의미한다.
- 스터디 공지사항 - 스터이원들에게 공개되는 공지사항을 의미한다.(공지사항은 1개로 제한한다.)
- 소통을 위한 오픈카톡 URL - 말 그대로
- 서비스 정책
- 핵심 키워드에 대한 학습을 마무리하면 핵심 키워드만 뱃지로 획득할 수 있다.
created by @woosung1223 @jaehee329 @aak2075 @nlom0218 @yeopto @woo-jk @MoonJeWoong